Conceitos Básicos
본 논문은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통합 모델(MUME)을 제안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진단 방법론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Resumo
본 연구 논문은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성숙도 모델을 분석하고 비교합니다.
연구 배경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중요해지면서 교사의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즉 디지털 성숙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이 제시되었지만, 모델마다 고려하는 측면과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현장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기존 디지털 성숙도 모델들의 장점을 통합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 모델(MUME)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적인 진단 도구 및 방법론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방법
- 문헌 분석: 교육 분야의 디지털 통합 및 성숙도 모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여 총 21개의 교사 디지털 성숙도 모델을 수집했습니다.
- 모델 비교 분석: 수집된 모델들을 적용 범위, 교사 활동 설명, 학습자 고려 여부, 성숙도 수준 명시, 활용 목적, 모델 설계 근거, 실증적 검증 여부 등의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했습니다.
- 통합 모델 개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TPACK, ICTE-MM, DigCompEdu, ICAP 등 4가지 모델을 핵심 기반 모델로 선정하고, 나머지 모델들의 하위 요소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통합 모델(MUME)을 개발했습니다.
- 진단 도구 개발: MUME 모델을 기반으로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ICAP-TS, TPACK.x, SELFIE, TNE 95-02 등 기존 진단 도구들을 참고하여 설문지의 내용을 구성했습니다.
- 설문지 예비 평가: 개발된 설문지를 프랑스 파리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1. MUME 모델 개발
본 연구에서는 교사, 관리자, 인프라의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성된 통합 디지털 성숙도 모델(MUME)을 제안합니다.
- 교사 영역은 교사의 전문적 참여, 디지털 리소스 활용, 교육 및 학습, 평가, 학생 관리의 5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 관리자 영역은 학교 및 교육 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리더십, 비전, 전략, 지원 체계 등을 포함합니다.
- 인프라 영역은 디지털 기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을 나타냅니다.
2. 디지털 성숙도 수준 정의
MUME 모델은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 수준을 6단계로 구분합니다.
- 1단계 (비사용자): 디지털 기술을 교육 활동에 전혀 활용하지 않는 단계
- 2단계 (초보 사용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경험이 제한적이며, 기본적인 기능만을 사용하는 단계
- 3단계 (탐색자):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도구를 탐색하고, 교육 활동에 적용해보려는 시도를 시작하는 단계
- 4단계 (숙련된 사용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 활동을 설계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단계
- 5단계 (선도자):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이 뛰어나 다른 교사들의 멘토 역할을 수행하고, 혁신적인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단계
- 6단계 (혁신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교육 비전을 제시하는 단계
3. 진단 도구 개발 및 예비 평가
본 연구에서는 MUME 모델을 기반으로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했습니다. 설문지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 디지털 기술 활용, 디지털 역량의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며, 총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통합 모델(MUME)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진단 방법론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향후 MUME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미래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statísticas
11개의 디지털 성숙도 모델을 선
설문지 예비 평가에는 143명의 교사가 참여했습니다.
참여자 중 86명은 초등학교 교사, 18명은 중등학교 교사였습니다.
여성 교사가 101명으로 남성 교사 22명보다 많았습니다.
교사 경력은 10년 이상이 88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