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nekoncepter
실제 환경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주석 작성 방법에 따라 주석의 품질과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
Resumé
이 연구는 실제 환경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주석 작성 방법을 4가지(현장 버튼 누르기, 앱 사용, 일기 작성,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보조 일기 작성)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현장 버튼 누르기와 앱 사용 방식은 정확성이 높지만 누락된 주석이 많았다.
- 일기 작성 방식은 가장 많은 주석을 제공했지만 시간 정확성이 낮았다.
-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보조 일기 작성 방식은 일기 작성 방식보다 정확성이 높았다.
- 주석 방식에 따라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최대 8%까지 차이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제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 및 주석 작성 방법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석 작성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tatistik
참여자 11명 중 10명이 남성, 1명이 여성이었다.
참여자 중 6명은 신호 처리 분야 연구원이었다.
참여자들은 2주 동안 스마트워치를 착용하고 활동을 기록했다.
Citater
"Annotating data, especially in real-world environments, is still very difficult and tedious."
"Our study shows that different labeling methodologi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quality of annotations. With the deep learning analysis, we prove that this impacts the model capabilities di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