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실제 환경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주석 처리 방법을 비교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총 11명의 참여자가 2주 동안 스마트워치를 착용하고 4가지 주석 처리 방법(1. 현장 버튼 누르기, 2. 현장 앱 사용, 3. 회상 일기, 4. 시계열 데이터 기반 회상)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주석을 달았다.
주석의 일관성과 누락 정도를 분석한 결과, 현장 버튼 누르기와 현장 앱 사용 방법이 가장 정확한 주석을 생성했지만 누락이 많았고, 회상 일기 방법은 일관성이 높았지만 정확성이 낮았다. 시계열 데이터 기반 회상 방법은 중간 수준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였다.
딥러닝 모델 평가 결과, 주석 방법에 따라 F1-Score가 최대 8%까지 차이났다. 현장 앱 사용과 시계열 데이터 기반 회상 방법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참여자의 데이터 해석 능력에 따라 달라졌는데, 데이터 해석 능력이 높은 참여자의 경우 시계열 데이터 기반 회상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는 실제 환경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주석 처리 방법이 주석의 품질과 딥러닝 모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향후 실제 환경 데이터 수집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데이터 해석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주석 처리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לשפה אחרת
מתוכן המקור
arxiv.org
תובנות מפתח מזוקקות מ:
by Alexander Ho... ב- arxiv.org 03-18-2024
https://arxiv.org/pdf/2305.08752.pdfשאלות מעמיקו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