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apfogalmak
대륙의 상리 공생률이 해양 섬의 종 풍부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연구에서 주장된 것처럼 강력하지 않으며, 위도 및 공간적 자 auto-correlation과 같은 다른 요인들을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은 미미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Kivonat
본 연구는 Delavaux et al. (2024)의 연구를 재검토하여 대륙의 상리 공생률이 해양 섬의 종 풍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결론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Delavaux et al.은 상리 공생자들이 생존을 위해 특정한 상호 작용 파트너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해양 섬에 정착할 확률이 낮아 섬의 종 풍부도가 낮아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저자들은 Delavaux et al.의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 분석 방법에 두 가지 주요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첫째, Delavaux et al.은 상리 공생률을 예측하기 위해 위도만을 변수로 사용하는 부적절한 일반화 가법 모형(GAM)을 사용했습니다. 이 모형은 상리 공생률의 경도적 패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위도와 상리 공생률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무시합니다. 둘째, Delavaux et al.은 다중 회귀 분석에서 모든 예측 변수에 대해 선형 효과를 가정했는데, 이는 잔차 분석 결과 나타난 비선형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입니다.
저자들은 위도와 경도를 모두 포함하는 Random Forest 모형을 사용하여 상리 공생률을 예측하고, 비선형성을 고려한 GAM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재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상리 공생률의 영향은 미미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섬의 상리 공생자 비율과 대륙의 상리 공생자 비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대륙의 상리 공생률이 해양 섬의 종 풍부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연구에서 주장된 것처럼 강력하지 않으며, 위도 및 공간적 자기 상관과 같은 다른 요인들을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은 미미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Statisztikák
Random Forest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한 상리 공생률의 평균 R² 값은 0.389로, 위도만을 예측 변수로 사용한 GAM의 평균 R² 값인 0.141보다 높았다.
위도와 경도를 모두 고려한 Random Forest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한 상리 공생률을 사용한 분석에서 상리 공생률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고 작게 나타났다.
Idézetek
"When using the mutualism covariate predicted from this improved model i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changed, and the effect of mutualism strength becomes non-significant and small."
"Our results show that area, distance, and absolute latitude influence the species deficit on oceanic islands nonlinearly, and that after accounting for these nonlinear effects, the effect of mutualism strength (regardless whether we use the original or our revised covariate definition) becomes non-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o not see convincing statistical evidence for a robust effect of the proportion of mainland mutualists species on the species deficit of oceanic is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