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Concepts
H3.3K27M 돌연변이와 BMP2/BMP7 신호가 협력하여 소아 미만성 중간선 교종 세포의 휴지기 및 침습성 상태를 유도한다.
Abstract
소아 미만성 중간선 교종(pDMG)은 매우 공격적인 소아암으로, 주요 표지자는 히스톤 H3의 K27M 돌연변이이다.
이 연구는 H3.3K27M 돌연변이와 BMP 신호 경로의 상호작용이 pDMG의 종양 세포 표현형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전사체 데이터 분석 결과, BMP 신호 경로 활성화는 ACVR1 돌연변이 여부와 무관하게 pDMG에서 관찰되며, BMP2와 BMP7이 ACVR1 야생형 종양에서 주요 활성화 인자로 작용한다.
유전적으로 수정된 pDMG 세포주와 환자 유래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H3.3K27M과 BMP2/7이 협력하여 휴지기 상태이지만 침습성이 높은 전사체 프로그램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전사체 분석을 통해, BMP 수용체 발현과 침습성 표현형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H3.3K27M 돌연변이와 BMP 신호 경로의 상호작용이 pDMG의 공격적인 표현형을 유도하는 핵심 기전임을 시사한다.
Stats
BMP7 발현은 H3.3K27M 돌연변이 도입 후 Res259와 SF188 세포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한다.
H3.3K27M 돌연변이 Res259 세포에서 BMP7 처리 후 24시간 시점에 TGF-β/BMP 활성화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한다.
H3.3K27M 돌연변이 Res259 세포에서 BMP7 처리 후 900개의 유전자가 특이적으로 차등 발현된다.
BMP7 처리는 H3.3K27M 돌연변이 Res259와 SF188 세포에서 G0/G1기 세포 비율을 각각 12.2%와 16.7% 유의하게 증가시킨다.
BMP2 처리는 HSJD-DIPG-012 및 HSJD-DIPG-014 pDMG 구형체의 성장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다.
Quotes
"BMP7 synergizes with K27M to induce a transcriptomic program leading to quiescence and invasiveness in a low-grade glioma model"
"Combined tumor-autonomous BMP2/BMP7 expression drives a quiescent-invasive tumor cell state in pD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