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 논문에서는 조합 최적화 문제에 대한 근사 해를 찾는 데 사용되는 양자 알고리즘인 양자 근사 최적화 알고리즘(QAOA)에 대해 분석합니다. 저자들은 연결된 그래프에서 최대 절단(maxcut) 문제에 대한 세 가지 QAOA Ansatz의 기본적인 대수적 특성, 특히 생성된 리 대수와 해당 불변 부분 공간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습니다.
변분 모델은 중간 규모 양자 컴퓨터를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그 중심에는 QAOA와 같은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QAOA는 그래프의 가장자리를 Ising 유형 Hamiltonian의 상호 작용 항으로 인코딩하고, 해당 Hamiltonian의 바닥 상태를 준비하도록 회로를 훈련하여 최대 절단(maxcut) 문제에 대한 근사 해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변분 모델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설계 선택 사항 중 하나는 매개변수화된 양자 회로에 대한 Ansatz의 선택입니다.
특정 회로 아키텍처는 기하급수적으로 억제된 손실 함수 기울기(즉, 바렌 고원) 또는 국소 최소값이 있는 최적화 환경과 같은 학습 가능성 장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규모 양자 컴퓨터가 아직 없는 상황에서 Ansatz가 문제를 일으킬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이론적 특성화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분석 중 하나는 매개변수화된 게이트의 극소 생성기의 리 폐쇄로 정의된 생성된 리 대수에 대한 연구입니다. 회로의 리 대수는 매개변수 선택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단일 연산자의 궁극적인 범위를 포착하며, 바렌 고원, 과매개변수화 및 모델의 고전적 시뮬레이션 가능성을 연구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특성화는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절단(maxcut)에 대한 세 가지 QAOA Ansatz, 즉 표준 Ansatz, 궤도 Ansatz 및 다중 각도(또는 자유) Ansatz의 대수적 특성을 연구하여 양자 회로의 대칭 및 리 대수 특성화 연구에 기여합니다.
다중 각도 QAOA Ansatz의 경우 모든 그래프에 대한 리 대수를 완벽하게 특성화하여 여섯 가지 계열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모든 그래프 계열(주기 그래프와 경로 그래프 제외)에서 리 대수의 차원은 그래프의 꼭지점 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러한 결과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다중 각도 Ansatz는 Ansatz의 단일 계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바렌 고원을 나타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궤도 및 표준 Ansatz의 경우 모든 그래프에 대한 리 대수의 전체 특성화는 상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경로, 주기 및 완전 그래프와 같은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는 제외, 리 대수 특성화는 [32, 40] 참조). 이를 위해 리 대수[19]의 대칭성, 즉 매개변수화된 단일 연산자와 교환하는 연산자 집합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먼저 그래프의 대칭성이 양자 수준에서 대칭성으로 어떻게 승격되는지 보여주고, 표준 Ansatz와 궤도 Ansatz는 이를 따르는 반면 다중 각도 Ansatz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것이 바로 다중 각도 Ansatz를 잘 특성화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그런 다음 궤도 및 표준 Ansatz는 고려되는 그래프의 패리티 초선택 연산자 X⊗n 및 모든 automorphism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대칭성을 넘어 추가적인 "숨겨진" 대칭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숨겨진" 대칭성으로 인해 리 대수는 그래프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연구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자연스러운 대칭성을 반 보편적인 "자연스러운" 리 대수와 연결할 수 있으며[29, 41], 그 차원은 궤도 및 표준 리 대수의 차원에 대한 상한을 제공합니다. 또한 "자연스러운" 대칭성과 관련된 불변 부분 공간의 차원은 명시적 문자 공식을 통해 결정됩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그래프에서 자연스러운 리 대수와 표준 리 대수에 대한 가장 큰 불변 구성 요소의 차원은 다항식 인수만큼만 다르다고 추측합니다. 이 경우 본 연구는 QAOA의 학습 가능성 및 고전적 시뮬레이션 가능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다른 언어로
소스 콘텐츠 기반
arxiv.org
더 깊은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