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개념
DCT 통계를 활용하여 이미지의 원본 해상도를 분류하고, 이를 통해 크롭핑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한다.
초록
이 연구는 이미지의 이산 코사인 변환(DCT) 통계를 활용하여 이미지의 원본 해상도를 분류하고, 이를 통해 크롭핑 여부를 탐지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한다.
- 연구팀은 RAISE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다양한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DCT 계수의 분포를 라플라시안 분포로 모델링하여 β 계수를 특징으로 추출했다.
- 추출된 β 계수를 바탕으로 SVM 분류기를 학습시켜 이미지의 해상도를 5개 클래스(2048x2048, 1024x1024, 512x512, 256x256, 128x128)로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 이 모델을 활용하여 크롭핑 탐지를 수행한 결과, 원본 해상도가 높을수록 크롭핑 탐지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 이는 DCT 통계가 이미지의 원본 해상도 정보를 잘 보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활용하면 이미지 조작 탐지 등 다양한 디지털 포렌식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해상도의 이미지를 활용하고, 딥러닝 기반 모델을 적용하는 등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
원본 해상도가 2048x2048인 이미지에서 크롭핑 크기가 1024x1024인 경우, 99%의 이미지가 원본 해상도로 분류되었다.
원본 해상도가 2048x2048인 이미지에서 크롭핑 크기가 512x512인 경우, 89.5%의 이미지가 원본 해상도로 분류되었다.
원본 해상도가 2048x2048인 이미지에서 크롭핑 크기가 256x256인 경우, 82.5%의 이미지가 원본 해상도로 분류되었다.
원본 해상도가 2048x2048인 이미지에서 크롭핑 크기가 128x128인 경우, 76%의 이미지가 원본 해상도로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