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개념
단일 관측소 지반 운동 기록에서 보조 정보(P/S 위상 도착 시간)에 대한 강한 의존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단일 관측소 기록만으로 효과적인 심층 학습이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단일 관측소 지반 운동 기록을 활용한 심층 학습의 효과를 평가하고, 보조 정보(P/S 위상 도착 시간)가 모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P/S 위상 정보를 입력에 포함할 경우 모델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모델이 지반 운동 기록보다는 P/S 위상 정보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ResNet과 TCN 모델을 사용하여 전역 및 지역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TCN 모델이 ResNet 모델보다 전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을 보였으며, P/S 위상 정보를 포함할 경우 모델의 과적합 경향이 감소하고 일반화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단일 관측소 지반 운동 기록만으로는 효과적인 심층 학습이 어려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조 정보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반 운동 기록 자체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 및 실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
지진 발생 위치와 관측소 간 거리가 1 km 증가할수록 P-S 위상 도착 시간 차이는 약 0.33초 증가한다.
지진 발생 위치와 관측소 간 거리가 10 km 증가할수록 P-S 위상 도착 시간 차이는 약 3.3초 증가한다.
인용구
"단일 관측소 지반 운동 기록만으로는 효과적인 심층 학습이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조 정보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반 운동 기록 자체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 및 실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