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개념
이 논문에서는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의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동변 슈퍼 슬라이스 종수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하여 대칭 1-핸들 안정화 거리에 대한 효과적인 하한을 찾습니다.
초록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 안정화 및 동변 안정화
본 연구 논문에서는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의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동변 슈퍼 슬라이스 종수를 정의하고, 이 두 가지 종수에 대한 하한을 증명합니다. 이러한 하한을 사용하여 이중 슬라이스이며 동변 슬라이스이지만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가 최소한 n인 매듭 군을 찾습니다. 이 결과를 사용하여 대칭 3-볼을 경계로 하지 않는 풀린 대칭 2-구를 구성합니다. 또한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슈퍼 슬라이스 종수를 사용하여 1-핸들 안정화 거리에 대한 효과적인 하한을 찾고,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슈퍼 슬라이스 종수를 사용하여 대칭 표면에 대한 대칭 1-핸들 안정화 거리를 제한하는 가능한 방법을 식별합니다.
매듭 K ⊂S3이 주어지면, 이중 슬라이스 종수 gds(K)는 Livingston-Meier [14]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으며, Σ가 적도 S3와 횡단적으로 교차하여 교차점 K를 갖는 풀린 표면 Σ ⊂S4의 최소 종수로 정의됩니다. 2021년, Chen [5]은 Casson-Gordon 불변량을 사용하여 이중 슬라이스 종수에 대한 하한을 구성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임의로 큰 이중 슬라이스 종수를 갖는 슬라이스 매듭이 존재함을 증명했습니다. 이후 Orson-Powell [16]은 시그니처에서 얻은 이중 슬라이스 종수에 대한 새로운 하한을 사용하여 이 결과를 개선하여 모든 n에 대해 이중 슬라이스 종수가 정확히 n인 슬라이스 매듭을 찾았습니다.
대칭 매듭의 동변 종수에 대한 논의는 Sakuma의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의 동변 일치 군에 대한 연구 [18]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 (K, τ)는 매듭 K ⊂S3와 τ(K) = K 및 fix(τ) = S1(K와 두 점에서 교차)을 만족하는 반전 τ : S3 → S3입니다.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의 동변 일치 군은 최근 몇 년 동안 [3, 4, 7, 8]을 포함하여 상당한 관심을 받았으며,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이 동변 슬라이스, 즉 B4에서 대칭 디스크를 경계로 하는 데 많은 장애물을 제공했습니다. Boyle-Issa [3]는 최근에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 (K, τ)에 대해 동변 4-종수 ˜g4(K, τ)를 τ : B4 →B4의 일부 확장 τ에 대해 ∂Σ = K 및 τ(Σ) = Σ를 만족하는 적절하게 포함된 표면 Σ ⊂B4의 최소 종수로 정의하여 보다 일반적인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매듭 플로어 호몰로지를 사용하여 Dai-Mallick-Stoffregen [6]은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으로 볼 때 임의로 큰 동변 4-종수를 갖는 슬라이스 매듭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 (K, τ)의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 ˜gds(K, τ)를 K가 단면으로 나타나는 동변 풀린 표면 Σ ⊂S4의 최소 종수로 정의합니다. 즉, S3와 횡단적으로 교차하여 교차점 K를 갖고 τ(H) = H를 만족하는 핸들바디 H를 경계로 하는 표면 Σ의 최소 종수입니다. 여기서 τ는 τ를 S4로 방향 보존 확장한 것입니다.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를 동변 4-종수 및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하한을 증명합니다.
정리 1.1. (K, τ)를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이라고 하고, K0와 K1을 각각 K의 호와 반축 h0 및 h1의 합집합으로부터 형성된 매듭이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min{gds(K0), gds(K1)} ≤˜gds(K, τ).
이 하한을 통해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의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에 대한 질문을 다른 매듭 K0 및 K1의 비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까지 답할 수 있으므로 이중 슬라이스 매듭에 대해 잘 연구된 경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하한을 사용하여 매듭 (K, τ)의 동변 이중 슬라이스 종수가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동변 4-종수의 조합에 의존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정리 1.2. 그림 1에 나와 있는 매듭 (Kn, τ)는 다음을 만족한다.
(1) Kn은 이중 슬라이스이다.
(2) (Kn, τ)는 동변 슬라이스이다.
(3) ˜gds(Kn, τ) ≥n.
그림 1. (Kn, τ)
1.1. 동변 슈퍼 슬라이스 매듭.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유사하게, Chen [5]에 의해 정의된 슈퍼 슬라이스 종수 gss(K)라는 개념이 있으며, S4에서 K를 따라 Σ를 두 배로 늘린 것이 풀린 상태가 되도록 K를 경계로 하는 표면 Σ ⊂B4의 최소 종수로 정의됩니다.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 (K, τ)의 동변 슈퍼 슬라이스 종수 ˜gss(K, τ)를 τ(Σ) = Σ이고 Σ를 두 배로 늘린 것이 동변 풀린 상태가 되도록 하는 표면 Σ ⊂B4의 최소 종수로 정의하여 이 논의를 동변 설정으로 확장합니다. 이중 슬라이스 설정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정리 1.3. (K, τ)를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이라고 하고, K0와 K1을 각각 K의 호와 반축 h0 및 h1의 합집합으로부터 형성된 매듭이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min{gss(K0), gss(K1)} ≤˜gss(K, τ).
1.2. 대칭 2-매듭.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과 유사하게, S4의 일부 대칭 아래에서 불변인 2-매듭의 속성이 무엇인지 질문할 수 있습니다. 정리 1.3을 사용하여 비동변 2-매듭 및 강하게 가역적인 매듭과 크게 구별되는 흥미로운 대칭 2-매듭의 예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즉, 다음 결과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정리 1.4. 3-볼을 경계로 하지만 동변 3-볼을 경계로 하지 않는 (S4, τ)의 대칭 2-구가 존재한다.
1.3. 경계 rel 디스크의 안정화 거리.
4-매니폴드에 포함된 표면의 내부 안정화 거리는 잘 연구된 영역 [1, 2, 9, 10, 11, 12, 15, 19]이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포함된 표면 Σ1과 Σ2가 주어지면 Σ1과 Σ2가 동위원소가 되기 전에 몇 개의 내부 안정화(Σ1과 Σ2에 2차원 1-핸들 추가)가 필요한지 질문합니다. Miller와 Powell [15]의 최근 연구에서 이 질문은 경계 rel 적절하게 포함된 표면의 내부 안정화로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공통 경계 K를 갖는 부드럽게 적절하게 포함된 종수 g 표면 Σ1, Σ2 ⊂B4 사이의 1-핸들 안정화 거리 d1(Σ1, Σ2)를 Σ1과 Σ2가 각각 최대 n번 안정화된 후 주변 동위원소 rel 경계가 되는 최소 n ⊂N으로 정의합니다.
이중 슬라이스 종수와 슈퍼 슬라이스 종수의 기본 속성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표면의 1-핸들 안정화 거리에 대한 다음과 같은 하한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정리 1.5. Σ1과 Σ2를 경계 K ⊂S3를 갖는 적절하게 포함된 종수 h 표면이라고 하고, Σ1 ∪K Σ2 ⊂(B4, Σ1) ∪(S3,K) (B4, Σ2)는 풀린 상태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d1(Σ1, Σ2) ≥gss(K) −h.
K를 이중 슬라이스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바로 도출됩니다.
결과 1.6. K를 gss(K) = n인 이중 슬라이스라고 하면, K는 d1(D1, D2) ≥n을 만족하는 슬라이스 디스크 D1과 D2를 갖는다.
여기서 특정 클래스의 대칭 표면에 대한 대칭 1-핸들 안정화 거리 ˜dτ1(Σ1, Σ2)를 정의하고 정리 1.5의 대칭 아날로그를 증명합니다.
정리 1.7. Σ1, Σ2 ⊂B4를 경계 K를 갖는 적절하게 포함된 종수 h 표면이라고 하고, 둘 다 τ-불변이라고 하자. Σ1 ∪K −Σ2 ⊂(B4, Σ1) ∪(S3,K) (B4, Σ2)가 동변 풀린 상태이면 ˜dτ1(Σ1, Σ2) ≥˜gss(K,τ)2−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