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 논문은 리 대수의 코호몰로지 이론을 리 콜대수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리 대수의 코호몰로지는 리 이론, 표현론, 호몰로지 대수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리 콜대수의 코호몰로지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했습니다. 이는 리 콜대수와 그 코모듈의 구조 이론이 리 대수와 그 모듈에 비해 덜 발달되었고, 많은 속성이 리 대수와 유사하지 않거나 쌍대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미분 등급(dg) 코즐 쌍대성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코닐포턴트 미분 등급 리 콜대수와 그 셰발레-엘렌베르크 미분 등급 대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합니다. 특히, 코닐포턴트 미분 등급 리 콜대수 g가 주어지면, 그에 대한 국소 유한 코모듈 범주를 고려합니다. 이 범주는 g의 보편 포괄 콜대수 Uc(g) 위의 코모듈 범주와 동형이며, 모델 범주의 구조를 가지며, 그 호모토피 범주는 g의 코유도 범주라고 불립니다. 또한, g의 셰발레-엘렌베르크 복합체 CE(g)는 dg 교환 대수이며, CE(g)-모듈 범주는 자체 모델 범주 구조를 가지며, 그 호모토피 범주는 CE(g)의 코유도 범주라고 불립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g가 코닐포턴트일 때, g 위의 코모듈과 CE(g) 위의 모듈 사이에 반사적인 Quillen 부가 함수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g가 음이 아닌 등급을 가질 때, 이 부가 함수는 Quillen 동치가 됩니다. 결과적으로, g-코모듈 계수를 갖는 g의 셰발레-엘렌베르크 코호몰로지를 유도 함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리 콜대수의 코호몰로지 이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코즐 쌍대성을 통해 리 콜대수와 그 셰발레-엘렌베르크 대수 사이의 깊은 관계를 밝힙니다. 이는 리 이론, 표현론, 호몰로지 대수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결과입니다.
다른 언어로
소스 콘텐츠 기반
arxiv.org
더 깊은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