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 논문은 가환 대수학, 특히 Macaulay 역 시스템 이론을 사용하여 1차원 국소 영역과 축소된 k-대수를 특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자들은 먼저 완전 뇌터 국소환 R과 그 잉여체 k에 대한 Matlis 쌍대성을 소개합니다. 그들은 k[[x₁, ..., xₙ]] 또는 k[x₁, ..., xₙ] 형태의 멱급수환 또는 다항식환 R에 대한 Macaulay 대응 관계를 설명합니다. 이 대응 관계는 R/I가 아틴 국소환이 되는 R의 아이디얼 I와 유한하게 생성된 Γ의 R-부분 모듈 I⊥ 사이의 관계를 설정합니다. 여기서 Γ는 kDP[y₁, ..., yₙ]으로 표시되는 나눗셈 거듭제곱환입니다.
저자들은 Macaulay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d차원 국소 고렌슈타인 k-대수를 특성화한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영역과 더 일반적으로 축소된 k-대수의 Macaulay 역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저자들은 R의 아이디얼 I에 대해 A = R/I가 1차원일 때 I가 소 아이디얼인 것과 I⊥가 거의 유한하게 생성된 A-모듈인 것이 동치임을 증명합니다. 또한 I⊥가 나눗셈 A-모듈인 것과도 동치임을 보입니다. 이 결과는 W.D. Weakley의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저자들은 수치 반군환의 역 시스템의 생성자를 명시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먼저 가중 다항식환에서의 역 시스템을 연구해야 했습니다. 그들은 1 ≤ a₁ < ... < aₙ과 gcd(a₁, ..., aₙ) = 1인 정수에 대해 I(a₁, ..., aₙ)⊥가 Lω,j (j ∈ J)로 생성된다는 것을 보입니다. 여기서 J는 degω(K) = j를 만족하는 K ∈ Nⁿ이 존재하는 j ≥ 0의 집합이고, Lω,j는 ω에 대한 동차 형식입니다. 또한 R-모듈 I(a₁, ..., aₙ)⊥는 거의 유한하게 생성된 R-모듈임을 보입니다.
저자들은 dim R/I = 1인 R의 아이디얼 I에 대해 I가 라디칼 아이디얼인 것과 I⊥ = M₁ + ... + Mr을 만족하는 거의 유한하게 생성된 R-부분 모듈 M₁, ..., Mr이 존재하는 것이 동치임을 증명합니다.
저자들은 차수가 r이고 R/I(X)의 소클 차수가 s인 영점 차원 고렌슈타인 스킴 X ⊂ Pⁿₖ에 대해 X가 축소된 스킴인 것과 I(X)⊥의 특정 생성자가 r개의 선형 형식의 거듭제곱의 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것이 동치임을 보입니다.
이 논문은 Macaulay 역 시스템 이론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환과 스킴을 특성화하는 데 유용한 결과를 제시합니다. 특히 1차원 국소 영역, 수치 반군환, 축소환, 고렌슈타인 스킴의 특성화는 대수 기하학 및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다른 언어로
소스 콘텐츠 기반
arxiv.org
더 깊은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