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łówne pojęcia
본 논문에서는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곡선 특이점의 Milnor 수에 대한 새로운 다중도 공식을 제시하며, 이는 완전 교차 곡선에 대한 Lˆe-Greuel-Teissier 공식을 일반화합니다.
Streszczenie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곡선의 Milnor 수에 대한 다중도 공식 분석
본 논문은 복소 해석 기하학, 특히 곡선 특이점의 기하학적 불변량 연구에 대한 연구 논문입니다. 저자들은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곡선 특이점의 Milnor 수를 계산하는 새로운 공식을 제시합니다. Milnor 수는 특이점의 복잡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불변량입니다.
축소된 복소 해석 곡선 특이점 (X0, 0) ⊂(Cn, 0)에서 시작합니다.
(Z0, 0) ⊂(Cn, 0)는 (X0, 0)를 해석적 부분 집합으로 포함하는 완전 교차 곡선입니다.
W0 := Z0 \ X0로 설정하고, I0(X0, W0)를 0에서 X0와 W0의 교차 다중도로 정의합니다. 이를 X0의 완전 교차 불일치라고 합니다.
(X0, 0)가 매끄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h−1(0), 0) = (X0, 0)이고, y ̸= 0가 0에 충분히 가까울 때 섬유 h−1(y) := Xy가 부드러운 1차원 부드러운 변형 h: (X, 0) →(Y, 0)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논문의 주요 결과는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곡선 특이점 (X0, 0) ⊂(Cn, 0)에 대한 Milnor 수에 대한 새로운 다중도 공식입니다.
정리 1.1. (X0, 0) ⊂(Cn, 0)를 축소 가능한 곡선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합니다.
(1) µ = e(Jac(X0)) −I0(X0, W0) −m + 1.
여기서:
µ는 (X0, 0)의 Milnor 수입니다.
e(Jac(X0))는 (X0, 0)의 자코비안 아이디얼의 Hilbert–Samuel 다중도입니다.
I0(X0, W0)는 (X0, 0)의 완전 교차 불일치입니다.
m은 (X0, 0)의 다중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