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 논문에서는 SARS-CoV-2의 XBB에서 JN.1 lineage으로의 항원 변이에 대한 항체 반응의 진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XBB lineage가 JN.1 lineage, 특히 KP.3 아형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는 백신 구성을 재평가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주장합니다.
연구팀은 SARS-CoV-2에 감염된 적 없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XBB와 JN.1 lineage의 항원 특징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JN.1 감염은 XBB 감염에 비해 하위 변이체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을 더 강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KP.3 아형은 강력한 면역 회피 및 수용체 결합 능력을 보여 향후 유행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구팀은 심층 돌연변이 스캐닝(DMS)을 통해 약 2,000개의 RBD 특이적 항체를 분리하고 그 표적 에피토프를 분석하여 BCR 레퍼토리를 광범위하게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JN.1 감염으로 유도된 기억 B 세포가 XBB 감염으로 유도된 기억 B 세포보다 우수한 중화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야생형 JN.1에 대한 중화 항체 중 IGHV3-53/3-66 유래 중화 항체(NAb)가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KP.2 및 KP.3 아형은 JN.1 감염으로 유도된 항체를 포함한 상당수의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KP.2/KP.3 아형을 표적으로 하는 부스터 백신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흥미롭게도, JN.1 감염으로 유도된 Omicron 특이적 항체는 다른 Omicron 하위 변이체에 대해서도 높은 효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항체의 회피 핫스팟은 이미 변이되었으며, 회피된 항체의 회복 가능성을 고려할 때 면역 장벽이 더 높아졌음을 의미합니다.
IGHV3-53/3-66 유래 항체의 높은 비중과 모든 Omicron 특이적 항체와 경쟁하는 능력은 Omicron 특이적 미접촉 B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시사합니다. 이는 mRNA 백신 접종자에서 나타나는 강력한 면역 각인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XBB에서 JN.1으로의 Omicron 항원 변이에 대한 진화하는 항체 반응을 보여주며, JN.1 lineage, 특히 KP.2/KP.3 아형을 기반으로 하는 부스터 백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翻譯成其他語言
從原文內容
www.nature.com
從以下內容提煉的關鍵洞見
by Fanchong Jia... 於 www.nature.com 11-07-2024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8315-x深入探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