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logo
Entrar

개입과 관찰의 구분을 통한 의식의 기반: 새롭게 발현되는 인과성


Conceitos Básicos
개입과 관찰을 구분하지 않으면 정확한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없다. 그러나 개입을 명시적으로 표현할 필요 없이도 개입과 관찰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정체성 및 의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의식의 기계적 설명이 될 수 있다.
Resumo
개입과 관찰을 구분하지 않으면 정확한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비가 올 때 라리가 우비를 입는다"라는 관찰로부터 "라리에게 우비를 입히면 비가 온다"라고 잘못 추론할 수 있다. 개입을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do" 연산자를 사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산자 없이도 개입을 변수로 표현하여 개입과 관찰을 구분할 수 있다. 변수는 추상적 개념이므로, 추상화를 전제하지 않으면 개입을 명시적으로 표현할 필요가 없다. 귀납적 추론을 통해 개입에 대한 표현이 자연스럽게 발현될 수 있다. 이렇게 발현된 개입에 대한 표현은 자신과 타인의 정체성 및 의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의식의 기계적 설명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기능적 의식, 접근적 의식, 그리고 제한적 의미의 현상적 의식을 다룬다. 그러나 "어려운 문제"로 알려진 의식의 본질적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Estatísticas
개입을 나타내는 변수 A와 관찰을 나타내는 변수 C,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R의 관계: p(R=true | C=true, A=true) = p(R=true) ≠ p(R=true | C=true, A=false) = 1 개입 a와 관찰 c의 관계: c ⊆ a
Citações
"개입을 나타내는 변수 A와 관찰을 나타내는 변수 C,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R의 관계: p(R=true | C=true, A=true) = p(R=true) ≠ p(R=true | C=true, A=false) = 1" "개입 a와 관찰 c의 관계: c ⊆ a"

Principais Insights Extraídos De

by Michael Timo... às arxiv.org 04-12-2024

https://arxiv.org/pdf/2302.03189.pdf
Emergent Causality and the Foundation of Consciousness

Perguntas Mais Profundas

개입과 관찰의 구분이 의식의 기계적 설명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

의식의 기계적 설명에서 개입과 관찰의 구분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개입을 passively observation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개입은 외부에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며, 관찰은 시스템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이 구분은 인간의 의식 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입을 통해 자아와 타인의 의도를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정체성과 다른 객체의 개입을 인지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입과 관찰의 구분은 의식의 기계적 설명에 있어 중요한 개념이며, 인간의 의식 형성 및 타인의 의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개입과 관찰의 구분이 인간의 편향된 사고방식을 설명할 수 있는가?

개입과 관찰의 구분은 인간의 편향된 사고방식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간은 종종 외부 요인에 따라 사고가 편향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개입과 관찰의 구분이 인간의 의식 형성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주변 환경에 따라 행동하고, 이를 통해 자아와 타인의 의도를 이해합니다. 따라서, 개입과 관찰의 구분은 인간의 편향된 사고방식을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입과 관찰의 구분이 인공지능 시스템의 자기 모델링과 타인 모델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개입과 관찰의 구분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자기 모델링과 타인 모델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개입과 관찰의 구분이 의식 형성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시스템이 개입과 관찰을 구별할 수 있다면, 자기 모델링과 타인 모델링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스템이 외부 개입과 내부 관찰을 구분할 수 있다면, 자아와 타인의 의도를 더 잘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개입과 관찰의 구분은 인공지능 시스템이 자기 모델링과 타인 모델링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0
visual_icon
generate_icon
translate_icon
scholar_search_icon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