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logo
Log på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특징짓고 진단하기 위한 모델 기반 방법론 설계


Kernekoncepter
본 논문은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통합 모델(MUME)을 제안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진단 방법론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Resumé

본 연구 논문은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성숙도 모델을 분석하고 비교합니다.

연구 배경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중요해지면서 교사의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즉 디지털 성숙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이 제시되었지만, 모델마다 고려하는 측면과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현장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기존 디지털 성숙도 모델들의 장점을 통합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 모델(MUME)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적인 진단 도구 및 방법론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방법

  1. 문헌 분석: 교육 분야의 디지털 통합 및 성숙도 모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여 총 21개의 교사 디지털 성숙도 모델을 수집했습니다.
  2. 모델 비교 분석: 수집된 모델들을 적용 범위, 교사 활동 설명, 학습자 고려 여부, 성숙도 수준 명시, 활용 목적, 모델 설계 근거, 실증적 검증 여부 등의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했습니다.
  3. 통합 모델 개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TPACK, ICTE-MM, DigCompEdu, ICAP 등 4가지 모델을 핵심 기반 모델로 선정하고, 나머지 모델들의 하위 요소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통합 모델(MUME)을 개발했습니다.
  4. 진단 도구 개발: MUME 모델을 기반으로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ICAP-TS, TPACK.x, SELFIE, TNE 95-02 등 기존 진단 도구들을 참고하여 설문지의 내용을 구성했습니다.
  5. 설문지 예비 평가: 개발된 설문지를 프랑스 파리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1. MUME 모델 개발

본 연구에서는 교사, 관리자, 인프라의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성된 통합 디지털 성숙도 모델(MUME)을 제안합니다.

  • 교사 영역은 교사의 전문적 참여, 디지털 리소스 활용, 교육 및 학습, 평가, 학생 관리의 5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 관리자 영역은 학교 및 교육 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리더십, 비전, 전략, 지원 체계 등을 포함합니다.
  • 인프라 영역은 디지털 기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을 나타냅니다.
2. 디지털 성숙도 수준 정의

MUME 모델은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 수준을 6단계로 구분합니다.

  • 1단계 (비사용자): 디지털 기술을 교육 활동에 전혀 활용하지 않는 단계
  • 2단계 (초보 사용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경험이 제한적이며, 기본적인 기능만을 사용하는 단계
  • 3단계 (탐색자):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도구를 탐색하고, 교육 활동에 적용해보려는 시도를 시작하는 단계
  • 4단계 (숙련된 사용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 활동을 설계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단계
  • 5단계 (선도자):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이 뛰어나 다른 교사들의 멘토 역할을 수행하고, 혁신적인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단계
  • 6단계 (혁신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교육 비전을 제시하는 단계
3. 진단 도구 개발 및 예비 평가

본 연구에서는 MUME 모델을 기반으로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했습니다. 설문지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 디지털 기술 활용, 디지털 역량의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며, 총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통합 모델(MUME)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진단 방법론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향후 MUME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미래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dit_icon

Tilpas resumé

edit_icon

Genskriv med AI

edit_icon

Generer citater

translate_icon

Oversæt kilde

visual_icon

Generer mindmap

visit_icon

Besøg kilde

Statistik
11개의 디지털 성숙도 모델을 선 설문지 예비 평가에는 143명의 교사가 참여했습니다. 참여자 중 86명은 초등학교 교사, 18명은 중등학교 교사였습니다. 여성 교사가 101명으로 남성 교사 22명보다 많았습니다. 교사 경력은 10년 이상이 88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Citater

Dybere Forespørgsler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교육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까요?

교사의 디지털 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정책적 지원은 다음과 같이 다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1.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기회 확대 및 지원 다양한 수준별 연수 프로그램 제공: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낮은 교사부터 높은 교사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도록, 기초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부터 TPACK, SAMR, LoTi 모델 등을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실천까지 다양한 수준의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합니다. 맞춤형 연수 지원: 교과 특성 및 교사 개인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플랫폼, 학습 공동체 운영 등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을 지원해야 합니다. 연수 참여 인센티브 제공: 승진, 연구 점수 부여 등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연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연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2.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 및 양질의 콘텐츠 제공 학교 디지털 인프라 확충: 고속 인터넷망, 디지털 학습 기기, 플랫폼 등을 구축하고, 교육용 소프트웨어, 디지털 교과서 등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급해야 합니다. 저작권 문제 해결 및 교육 자료 공유 플랫폼 구축: 교사들이 자유롭게 디지털 교육 자료를 활용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작권 문제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교육 자료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여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합니다. 3. 디지털 교육 평가 체제 개선 및 지원 과정 중심의 평가 체제 도입: 결과 중심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습 과정과 성장을 중시하는 평가 체제를 구축해야 합니다. 교사의 디지털 교육 활용 역량 평가 모델 개발: MUME 모델과 같이 교사의 디지털 교육 활용 역량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교원 평가에 반영하여 디지털 교육 혁신을 위한 동기를 부여해야 합니다. 디지털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및 피드백 제공: 교사들이 디지털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수업 관찰, 동료 피드백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해야 합니다. 4. 교사 인식 개선 및 자발적 참여 유도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 디지털 교육 관련 정책 및 비 성공 사례 공유, 교사, 학생, 학부모 대상 연수 및 워크숍 등을 통해 디지털 교육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합니다. 자발적인 학습 공동체 운영 지원: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디지털 교육 경험을 공유하고, 서로 협력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온라인/오프라인 학습 공동체 운영을 지원해야 합니다.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낮은 교사는 교육 현장에서 배제될 수도 있을까요?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교사를 교육 현장에서 배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 시대에 교사의 역할 변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은 교사의 중요한 역량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낮은 교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대한 적응 어려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업 설계,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활용, 학생 맞춤형 교육 제공 등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습 요구 충족 어려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불리는 학생들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에 익숙하며, 교사에게 디지털 역량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발휘 제한: 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 경험 부족은 교사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새로운 교육 방식을 시도하는 데 제약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낮은 교사는 자발적인 노력과 교육 당국의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동시에 교육 당국은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낮은 교사를 단순히 배제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이들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교육 현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인공지능 시대에 교사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인공지능 시대에는 단순 지식 전달자를 넘어 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학생 개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며,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성장을 돕는 촉진자로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1. 인공지능 활용 교육 전문가: 인공지능 기술 동향 파악 및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 인공지능 기반 교육 도구 및 플랫폼 활용 능력 함양 학생들에게 인공지능 윤리 교육 및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제공 2. 학습 경험 설계자: 인공지능 기반 학습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 개별 특성에 맞는 학습 경로 및 콘텐츠 제공 학생 중심의 탐구, 프로젝트 기반 학습 설계 및 인공지능 활용 협업 학습 환경 구축 3. 학습 촉진자 및 멘토: 인공지능이 대체하기 어려운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 및 성장 지원 학생들의 잠재력 발휘 및 자기 주도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동기 부여 및 격려 제공 4. 인공지능 윤리 교육자: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적 쟁점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한 교육 실시 인공지능 시대에 요구되는 책임감 있는 태도 및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교육 교사는 인공지능 시대에도 인간만이 가진 강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성장을 돕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을 통해 미래 교육을 선도하는 주체로서 그 역할을 이어나가야 할 것입니다.
0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