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logo
Sign In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인식 및 모방에 기반한 잠재적 바이오마커 발견을 위한 파일럿 연구


Core Concepts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인식 및 모방 능력에 대한 잠재적 바이오마커 발견
Abstract
이 파일럿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 및 청년과 정상 발달(NT) 아동 및 청년 간의 얼굴 표정 인식 및 모방 능력을 비교하여 잠재적 바이오마커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실험을 통해 3D 아바타의 정적 및 동적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모방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참여자의 웹캠을 통해 눈 추적(ET) 및 얼굴 비디오 추적(VT)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속 변수(DV)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 타당성 검증을 통해 220개의 DV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oruta 및 r-Boruta 통계 분석을 통해 ASD와 NT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15개의 DV를 선별하였다. 이 중 (MIM-US '혐오', ET %Gaze Face)가 잠재적 바이오마커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선별된 DV들은 향후 연구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하위 집단 구분을 위한 후보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적절한 표본 크기를 제안하였다.
Stats
정상 발달 집단의 얼굴 표정 인식 정확도는 우연 수준(16.7%)을 유의하게 초과한다. 정상 발달 집단의 얼굴 표정 모방 시 특정 행동 단위(AU) 활성화 수준은 0보다 유의하게 크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의 '혐오' 표정 모방 시 얼굴 응시 비율은 정상 발달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다.
Quotes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인식 및 모방 능력에 대한 잠재적 바이오마커 발견"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하위 집단 구분을 위한 후보 바이오마커 선별" "향후 연구를 위한 적절한 표본 크기 제안"

Deeper Inquiries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인식 및 모방 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은 무엇일까?

얼굴 표정 인식 및 모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으로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시각적인 자극을 활용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모방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동 및 청년은 다양한 표정을 인식하고 적절히 모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나 사회기술훈련(Social Skills Training)과 같은 치료 방법을 통해 얼굴 표정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중재 방안은 개별 아동이나 청년의 요구에 맞게 맞춤화되어야 하며, 전문가의 지도와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경생리학적 차이는 어떠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경생리학적 차이는 다양한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얼굴 표정을 처리하는 뇌 영역에서 활동 패턴이 일반적인 개인과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감정을 처리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이나 활성도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호르몬 수준이나 뇌 활동의 조절에 관련된 유전자 변이 등도 얼굴 표정 처리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처리 능력과 사회적 기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년의 얼굴 표정 처리 능력과 사회적 기능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얼굴 표정 처리 능력이 부족한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대인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얼굴 표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얼굴 표정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사회적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아동 및 청년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더욱 성공적일 수 있습니다.
0
visual_icon
generate_icon
translate_icon
scholar_search_icon
star